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Vol. 20, No. 1, pp.1-25
ISSN: 1738-0057 (Print) 2671-83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4
Received 25 Dec 2023 Reviewed 18 Jan 2024 Accepted 14 Feb 2024
DOI: https://doi.org/10.26857/JLLS.2024.2.20.1.1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이민효 ; 남창우** ; 김미정 ; 이수아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Emotional Coaching Parent Education
Minhyo Lee ; Changwoo Nam** ; Mijeong Kim ; Sua Lee
Dong-A University
Dong-A University
Dong-A University
Dong-A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남창우 ( ncw753@dau.ac.k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최종 모형에 대한 내적 타당도 검증을 통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Delphi survey)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수행내용이 개발되었다. 모형의 각 단계에 따라 수행내용 및 수업전략에 대해 제시하였다. 개발된 최종 모형의 내적 타당도 검증 결과 CVR 1.0으로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은 부모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는 교육기관 및 교수자가 교육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학습을 위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provide guidelines for practical use of the emotional coaching parent education program in educational settings. Thus, a draft development model for emotional coaching and parent education was deriv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o develop an emotional coaching and parent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were performed on the derived model targeting a panel of experts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ADDIE model, the analysis stag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ages of needs, learner, environment, and task analyses. Second,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final model was verified by five experts, and the usability of the model was validated with CVR 1.0.

Keywords:

ADDIE instructional model, delphi survey, emotional coaching parents education

키워드:

감정코칭, 부모교육, ADDIE 교수설계 모형, 델파이 조사

Ⅰ. 서론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분기 합계출산율(여성 1명의 평생 출생아 수)은 0.7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다(조백건, 2023).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사회 변화 현상은 가정의 기능을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형태로 가족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구조 속에서도 가정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본질 중 하나인 인간을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길러내는 일은 더욱 중요한 본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한 가족을 유지하고, 성공적인 부모역할 수행을 위해 부모역할 지침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홍길회·우수정, 2023).

건강한 부모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부모의 역할과 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재점검을 실시하고 부모교육에 근본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고광숙·김성길, 2023).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전 일생에 영향을 주면서 자녀의 성격과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전문화된 부모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홍미라·김동진·황보영, 2018). 특히, 자녀의 감정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부모의 감정과 정서에도 관심을 가지며, 부모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 정서를 가지고 삶을 만족스럽게 느끼며 나아갈 수 있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서 부모의 역할과 역량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부각되고 있다(조하영·윤미승, 2022).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목적은 부모는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 자녀의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 모두를 수용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녀의 심리 및 행동을 유도하여 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보다 더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서숙경·김은경, 2012; 최성애·조벽, 2012; Gottman, Katz, & Hooven, 1996). 즉,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건강한 부모로 성장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체계화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부, 여성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종교기관, 부모 및 지역 커뮤니티, 부모교육 전문기관, 비영리단체(NGO) 등 민간영역에서도 다양한 부모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체감도가 높지 않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김영환·이승민·강두봉, 2017). 또한, 대부분의 부모교육은 주로 단시간의 일회성 특강 위주로 진행이 되고 있어서 실제 부모들이 봉착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 회기성의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2016).

부모교육 수업을 듣는 학습자가 성인 학습자임을 고려하여 학습자 맞춤의 교육방법과 교육 프로그램 설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요구 사항을 반영하고 부모 유형 및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교육을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하다(김영환·이승민·강두봉, 2017). 체계적 설계과정을 안내하는 교수설계(Instructional Design)는 설계, 개발, 실행, 평가, 운영, 평가의 주요 영역을 대상으로 수업의 전 과정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ck, Carey, & Carey, 2009).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요구 사정이나 수행분석 등을 통해 관련된 문제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교육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에 이르는 교수체제개발의 전 과정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구성한다(윤관식·김미화, 2020).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부모와 자녀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성을 고려하여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가 실제적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교육기관, 공공기관, 기업은 물론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교육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학습을 위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최적화된 교수설계 모형은 무엇인가?
  • 둘째,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운영하기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Ⅱ. 이론적 배경

1.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개념 및 특징

감정코칭은 부모와 자녀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상호작용으로 인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아이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서 보이는 일정한 패턴을 중심으로 부모와 자녀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관계의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이다(서유리안나, 2010; 전인경, 2015).

감정코칭 부모교육에서는 자녀의 부정적인 감정을 무시하지 않고 수용하며, 감정을 인정해주면서 자녀와 보다 친밀한 관계를 맺을 기회로 활용한다. 즉,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공감하면서 행동의 한계를 설정하고 감정을 조절하도록 도와주어 심리나 행동의 방향을 잡아주는 것이다. Gottman, Katz, & Hooven(1996)은 감정코칭 부모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였다. 부모가 자녀의 감정적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축소전환형, 억압형, 방임형, 감정코칭형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에 감정코칭형 부모를 가장 이상적인 부모 유형으로 보았다. 감정코칭 부모유형의 4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최성애·조벽·존 가트맨, 2020).

첫째, 축소전환형 부모는 자녀의 부정적 감정에 무관심하거나 무시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이 유형의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좋고 나쁜 것으로 나누어 나쁜 것은 인정하지 않고 나쁜 감정을 느낄 때는 빨리 아이의 관심을 다른 쪽으로 돌려야 한다고 여긴다. 부모에게 이러한 감정의 지도를 받은 아이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잘 알지 못하게 되고 감정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 배우지 못하게 된다. 이런 아이는 감정 조절을 어려워하며 성장하게 된다.

둘째, 억압형 부모도 축소전환형 부모처럼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무시하고 아이의 감정을 질책하고 엄하게 대하는 유형을 말한다. 부정적인 감정을 무시하는 정도를 넘어 감정이 잘못된 것이라고 비난까지 한다. 이 유형의 부모는 부정적인 감정은 좋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 자체를 허용하면 아이의 성격이 나빠질 것을 염려한다. 아이가 빨리 부정적 감정에서 벗어나게 해서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고 믿는다. 자녀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감정과 관련된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셋째, 방임형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은 하지만 아이의 감정을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좋은 방향으로 행동을 이끌거나 한계를 제시하지 못한다. 즉 자신의 감정대로 어떠한 행동을 하든 언제든지 허용을 해주는 환경으로 만들어 준다. 방임형 부모의 자녀는 자기 자신의 감정밖에 몰라서 배려심이나 사회성이 부족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터득하지 못하여 친구를 사귀거나 다른 사람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두려워한다

마지막으로, 감정코칭형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고 공감한다는 내용은 방임형 부모와 같다. 그러나 감정코칭형 부모는 자녀의 행동에 한계를 분명히 하고,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보게 한다. 여러 가지 가능성과 선택을 열어두면 아이의 마음은 안정을 찾고 좀 더 바람직한 방법과 해결을 찾으려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은 이상하거나 나쁜 것이 아니라고 여기며 자신감이 생기고 부모와는 유대감과 신뢰감이 생긴다.

지지적인 정서반응을 보이는 감정코칭형 부모는 비지지적인 정서반응을 보이는 부모들에 비해 자녀의 정서로 인해 생기는 어려움에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태도를 보일 뿐 아니라 자녀가 자원과 능력을 인정하고 잘 관리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준다(서숙경·김은경, 2012; Gottman & Declaire, 1997). 모든 부모에게서 위 4가지의 부모 유형 중 어느 한 가지 모습만 완벽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며 대부분 4가지 모습이 다 섞여 있다. 모든 부모가 감정코칭을 잘 할 수 있는 자질을 타고나지 않았지만 감정코칭을 하고자 하는 마음과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통해 감정코칭형 부모로 성장할 수 있다.

2.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교수설계는 명확성, 배려, 전문성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교수계획 활동이다(Smith & Ragan, 2005). 또한, 교수설계는 학습과 수행을 촉진하기 위한 상황의 개발, 평가, 유지를 위한 상세한 명세서를 개발하는 과학과 예술이라고 정의한다(Richey, Klein, & Tracey, 2011).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체제를 설계하는 과정(process) 그 자체를 체제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이라고 하며 교수설계 모형은 상호의존적이고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박성익 외, 2021).

교수설계 모형의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ADDIE 모형, Dick & Carey 모형, Kemp 모형 등이 있다(정재삼, 1998). 교수설계 모형이 적용되는 상황 및 설계 전략 등의 측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교수설계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공통요소를 가지고 있다. ADDIE 모형은 교수설계 모형의 가장 일반적인 모형으로 많은 교수설계 모형들이 ADDIE 모형을 근간으로 하였다고 볼 수 있다(권성연 외, 2021). 특히, ADDIE 모형의 각 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과정은 매우 직선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되지만 실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적용하게 되면 체제적이고 순환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된다(정재삼, 1996).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부모교육 및 감정코칭 부모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김희정, 2023; 이양숙·김미점·김장회, 2022; 이윤옥, 2013)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부모의 요구도 조사에 관한 연구(박소현, 2016; 이명순·고여훈, 2016; 최혜미, 2014)가 대부분 수행되고 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습 대상자가 성인임을 고려하여 생애주기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김영환·이승민·강두봉, 2017). 특히, 감정코칭 부모교육에서 제시하는 4가지 부모유형 중에서도 감정코칭 부모를 가장 이상적인 부모 유형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감정코칭 부모가 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아이의 다양한 상황 및 특징 등을 고려하여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실행하기 전 자녀의 연령, 성별 등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부모교육을 실행하는 교육기관, 교수자 등 환경에 대한 분석도 필수적이다. 부모교육 실행 전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고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계획, 실행, 평가 등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 단계에 따라 단계별 구성요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모형의 초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을 정리하여 나타내면 다음 <표 1>과 같다.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 초안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최종 개발된 모형에 대해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Richey & Klein(2005)이 제안한 설계·개발 연구(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계·개발연구의 대표적 유형은 특정 산출물 및 도구 설계와 개발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유형1)와 모형개발, 타당화, 사용연구(유형2)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형2의 모형 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여 포괄적 모형개발 혹은 모형 구성요소를 개발하고 내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설계·개발 연구 수행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감정코칭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설계·개발 연구에 대한 질적이고 풍부한 아이디어를 제공받기 위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를 연구 참여자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한 연구 참여자는 총 5인으로써 ADDIE 모형 기반의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교육공학 전문가 2인, 교육 상담 전문가 3인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였다. 전문가 패널을 섭외 후 전자우편 및 문자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에게 설문조사 동의를 구한 뒤 총 3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의 일반적 배경은 <표 2>와 같다.

전문가 패널의 일반적 배경

2. 연구절차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 연구기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 조사 연구방법은 조사에 참가하는 전문가 패널들이 한 군데 모여 논쟁을 하지 않고도 집단성원의 합의를 유도해 낼 수 있는 집단협의 방식에 대한 대안적 조사 방법이다(김병성, 1996). 구체적인 연구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시사점,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1차 델파이 조사지 구성 및 제작 방향을 모색하고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도출하였다. 셋째,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바탕으로 총 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위한 모형 수정안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차 델파이 조사와 동일하게 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최종 모형에 대한 내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진행된 연구절차를 그림으로 도식화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절차

1) 1차 델파이 조사

ADDIE 교수설계 모형 및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총 5단계에 따라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지는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의 5단계(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에 대한 단계별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들의 검토의견을 묻는 개방형 질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 조사지는 전문가 패널에게 E-mail로 배부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기간은 2023년 6월 27일부터 7월 17일까지로 정하고 전문가들의 응답을 받았다.

2) 2차 델파이 조사

2차 델파이 조사지는 1차 델파이 조사지를 통해 수집된 전문가 패널 의견을 종합, 분석하여 개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지는 1차와 동일하게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의 단계별 구성요소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방형 질문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지도 1차 델파이 조사지와 동일하게 전문가 패널에게 E-mail로 조사지를 배부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 기간은 2023년 8월 28일부터 9월 11일까지로 정하고 전문가들의 응답을 받았다.

3) 3차 델파이 조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 분석하여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는 최종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에 대한 내적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타당화 분석을 위한 질문지는 타당성, 설명력, 구체성, 표현력, 유용성의 영역에 따라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폐쇄형 5단계 척도의 형태로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도 1차와 2차 조사지와 동일하게 5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을 E-mail로 질문지를 배부한 후 응답을 받았다. 3차 델파이 조사 기간은 2023년 10월 18일부터 10월 27일까지로 정하고 전문가들에게 응답을 받았다.

3. 연구도구 및 자료분석

1) 델파이 조사 조사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방향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지는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 실시하는 개방형 질문의 경우 참여하는 전문가 패널들이 문제에 대해 다양하고 확산적으로 인식하며 직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이민효·남창우, 2023). 1차 델파이 조사지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하기 전 전문가 패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의 개요 및 ADDIE 교수설계 모형의 단계별 특징에 대해 제시하였다. ADDIE 모형에 따라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 구성은 <표 3>과 같다.

델파이 조사지 문항

2) 3차 내적 타당화

모형의 타당화는 설계·개발 연구의 주요한 목표이며 설계과정의 입증에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총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모형의 수정 및 보완을 거친 뒤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는 최종 개발된 모형의 수행 전략 및 설계원리에 대한 내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도 1차, 2차 전문가와 동일하게 교수설계전문가 2인, 감정코칭 전문가 3인의 전문가를 통해 내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적 타당화를 위한 검사 도구는 모바일 러닝(m-learning) 환경에 적합한 협력학습 모형개발(남창우·장선영, 2012)에서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문항을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평가 영역은 타당성, 설명력, 구체성, 표현력, 유용성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영역별로는 리커트(Likert) 5점 척도(5=매우 타당함, 4=다소 타당함, 3=보통, 2=다소 타당하지 않음, 1=전혀 타당하지 않음)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최종 타당도 분석을 위한 설문 도구는 <표 4>와 같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최종) 타당도 평가 영역 및 문항

각 영역별 문항에 대해 전문가 타당도를 위해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는 지표로써 내용 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n, 이하 CVR)을 활용하였다. 내용 타당도 비율은 Lawshe(1975)가 제시한 산출 공식으로 의사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통계수치를 제공하는 검증방법이다. CVR의 판단 방법은 평가 문항별 CVR 값이 전문가 집단의 수에 따른 최소허용 값보다 높으면 채택이 되고, 낮으면 기각이 되는 것이다. Lawshe(1975)가 제시한 CVR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다.

Ne : Likert 5점 척도 중 ‘그렇다(4점)’ 와 매우 ‘그렇다(5점)’ 응답한 델파이 패널의 수
N : 전체 델파이 패널의 수
CVR=Ne-N2N2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 내적 타당화를 위한 전문가 집단 수는 총 5인으로 Lawshe(1975)의 증명에 따르면 CVR 최소 허용값이 0.99이상이 산출되어야 전문가 의견이 긍정적으로 산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VR 최솟값 기준은 패널 수에 따라 상이하며, 패널 수에 따른 CVR 값을 살펴보면 <표 5>와 같다.

Lawshe(1975)의 내용 타당도 비율(CVR) 최솟값


Ⅳ. 연구결과

1.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 개발을 위해 1차 델파이 조사 전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부모교육, 감정코칭, 교수설계 모형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초안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실행하기 전 수업 전 활동의 단계를 살펴보면 분석 단계는 요구 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교수자 분석, 과제 분석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하다. 분석 단계를 바탕으로 설계 단계는 학습목표 설계, 교수전략 및 교수방법 설계, 평가 설계로 구성하였다. 개발 단계는 실제로 감정코칭 부모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매체를 개발하는 단계로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프로그램 개발 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수업 중 활동 단계로 수업을 실행한다. 수업의 실행단계에서도 수업 초반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고 수업 진행을 하면서 수업의 중간 점검을 한다. 수업이 끝났으며 이후 수업 후 활동으로 평가를 실시한다. 이때, 평가는 학습자의 교육효과나 만족도에 대한 평가는 물론 프로그램 자체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해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을 살펴보면 [그림 2]와 같다.

[그림 2]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

2.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

1차 델파이 조사지를 통해 조사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보면, 전반적으로 모호한 용어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학습 대상을 명확히 하고 분석 단계에서 학습자 분석과 환경 분석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가 일관성 있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을 해야한다는 주요의견이 있었다.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한 주요 전문가 의견을 살펴보면 <표 6>과 같다.

1차 델파이 조사 주요 전문가 의견

3.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2차 모형에 대한 전문가 의견

1차 델파이 조사지를 통해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2차를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지의 전문가 의견을 통해 개발된 2차 교수설계 모형의 단계별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첫째, 분석 단계는 요구 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과제 분석으로 재구성하였다. 학습자가 성인 학습자임을 고려하고 수업 전 분석 단계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학습자 맞춤형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에서 학습자, 수업환경, 수업목표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석 단계의 분석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설계 단계는 학습목표 설계, 교수전략 및 교수방법 설계로 이루어지며 감정코칭 부모가 되기 위해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의 교수전랴과 교수학습 방법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단 기회성에 그치지 않고 정밀한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만족도를 검증받기 위해서는 교육평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교육 목표에 맞는 평가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개발 단계는 학습자 맞춤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프로그램 개발을 실행하여 수업 전 준비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수업 전 단계가 끝났다면 수업을 실행한다. 수업 실행을 위해서는 수업 실행 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수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섯째, 수업 후 활동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평가와 프로그램 활성화와 환류를 위한 프로그램 자체제 대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모형이 개발되었다.

2차 델파이 조사지를 통한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보면, 모형은 전체적으로 1차에 비해 전체적으로 많이 다듬어 졌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부모교육 중에서도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특성이 드러나면 좋을 것 같다는 주요 의견이 있었다. 다른 주제의 교수설계 모형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실시하는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만의 차별성과 특수성이 드러나는 지 분석이 필요하다는 주요 의견이 있었다.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한 주요 전문가 의견을 살펴보면 <표 7>과 같다.

2차 델파이 조사 주요 전문가 의견

4.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최종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각 단계별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분석 단계는 부모교육의 계획 수립 시 중요시되어야 하는 단계로 부모교육 수업을 듣는 양육자의 양육형태, 양육주체 등 부모의 요구뿐만 아니라 자녀의 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부모교육을 계획한다. 특히,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유형 중 이상적인 부모 유형으로 감정코칭형 부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감정코칭 부모교육은 자녀의 감정 중 부정적 감정을 수용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부모가 코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 분석과 자녀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해야 한다. 또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운영 기관 및 지역사회, 부모의 학습환경 분석을 고려하기 위해 환경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부모교육의 학습자가 성인 학습자임을 감안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채택되어 온·오프라인 형태의 수업이 진행될 수도 있으므로 학습자의 환경분석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설계 단계는 분석 단계에서 진행된 내용을 바탕으로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목표 및 학습목표별 교수 전략을 설계한다. 특히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대면, 비대면, 블렌디드 형태의 다양한 교수전략이 실행될 수 있도록 교수전략과 수업자료, 교수·학습 도구를 설계해야 한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서 학습자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계를 해야 한다.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프로그램 개발이 진행되며 교수·학습 자료 개발 단계에서는 수업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수업을 위한 플랫폼 및 콘텐츠를 선정하는 활동을 한다. 또한, 설계된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평가 자료를 개발한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계획안을 개발한다. 실행 단계는 교육 시작 단계인 실행 전 단계와 교육 진행 중인 실행 중 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실행 전 단계에서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고 학습 지원 및 학습자 관리를 수행한다. 실행 중 단계에서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형성평가를 실시한다.

교육의 마지막 단계인 평가 단계에서는 학습자 평가와 프로그램 평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학습자 평가에서는 학습자의 감정코칭 부모교육에 대한 교육의 효과성 및 만족도 평가를 실시한다.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교육 내용과 교수자 평가를 통해 효과성 및 효율성 등을 분석하여 수업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한다.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기존의 수업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수업 전체를 검토하여 다음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은 ADDIE 모형의 단계에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 단계로 개발되었다.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살펴보면 [그림 3]과 같다.

[그림 3]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최종

5.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최종 모형의 내적 타당화 검증

ADDIE 모형 기반의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타당화 결과를 살펴보면 CVR 값은 모든 영역에서 1.0으로 나타났으며, 문항의 평균은 4.8∼5.0이었다. 설명력 영역과 구체성 영역의 평균은 5.0으로 동일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타당성, 표현력, 유용성 영역의 평균은 4.8점으로 평균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다. Lawshe(1975)에 따라 델파이 조사 수가 5명인 경우, CVR 값이 .99이상으로 산출된 경우 전문가 패널의 의견이 긍정적으로 수렴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로 본 연구에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내적 타당화 또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내적 타당화 결과는 <표 8>과 같다.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내적 타당화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각 단계의 구성에에 따라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은 내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모형의 실제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연구 결과 및 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ADDIE 모형의 각 단계에 따라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ADDIE 모형은 교수설계 모형 중 가장 오랜 시간 동안 많은 교수설계자들에 의해 정교화되고 활용되는 검증된 모형이다. 특히 초기 설계 단계인 분석 단계를 통해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박성익 외, 2021). 계획 단계의 정밀한 분석을 통해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복잡해지고 맞벌이 가족의 증가로 인해 부모들의 요구와 희망, 양육 및 부모의 제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정밀한 부모교육의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홍길회·우수정, 2023).

본 연구에서는 수업 전 활동으로 분석, 설계, 개발 단계로 구성하였으며, 분석 단계에서 제시된 요구 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과제 분석의 구성요소에 따라 학습자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계획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 단계에서 나온 산출물을 토대로 학습자 맞춤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특히, 부모교육 수업을 듣는 학습자가 성인 학습자임을 고려할 때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형태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정보미·김낙흥, 2016; 최혜미, 2014).

최근 부모교육 운영 방식을 보면 기존의 개인이나 단체를 통한 오프라인 부모교육뿐만 아니라 유튜브나 TV 등의 방송 미디어를 이용한 다양한 경로로 진행된다.(김민희, 2022) 또한, 부모의 시간 부족과 교육에 대한 정보 부족 등에 대한 문제도 부모의 의지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서도 교육이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수업에서 활용될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설계하고 개발되어야 한다(고광숙·김성길, 2023) .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시행 전 학습자 관리를 수행하고 프로그램 수행 후 운영 모니터링 및 중간 점검 등을 통해 수업에 대한 총괄적인 관리를 실시하며 부모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여 부모교육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부모교육의 운영방법은 대부분 경연 및 강의 방법이 주축이 되고 있으며, 부모교육의 성과의 중요한 부분은 교수자의 강의역량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부모교육 운영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정옥분·정순화, 2016). 본 연구와 관련하여 부모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광숙·김성길, 2023; 김길숙, 2017; 김영환·이승민·강두봉, 2017).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단 기회성에 그치지 않고, 부모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할 때 기획부터 운영, 평가의 각 단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교수설계 모형이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체계적이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수업의 운영은 교사의 자질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은 부모교육 수업을 하는 교수자가 양질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수업설계 매뉴얼을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종 모형은 내적 타당도 검증를 통해 모형의 타당화를 확인하였다. 내적 타당도 검증 결과 문항의 평균은 4.8∼5.0이었으며, CVR 결과는 5개 영역 모두 1.0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기업은 물론 개인 교수자가 부모교육을 준비함에 있어서 수업을 위한 계획은 물론 수업 후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평가를 진행하여 부모교육이 일회성으로 계획되어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교수·학습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이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전반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은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교육공학 전문가, 상담 전문가 패널을 전문가를 통해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은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의 각 단계별로 구성요소가 개발되어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행전략을 선택하여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교육을 처음 시행하는 교육기관이나, 교수자는 분석 단계부터 평가 단계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각 단계에 따라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은 모형의 하위 단계별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최종모형 전체에 대한 내적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추후 최종 모형의 하위 단계별로 내적 타당화를 실시하여 각 단계별 모형의 타당화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참여한 패널들은 교육공학 전문가 2인, 상담 전문가 3인을 포함한 총 5인의 인원으로 구성이 되었다. 추후 부모교육 교육기관 운영자, 교사, 행정가 등 부모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보다 많은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모형의 외적 타당화를 실시하여 교육적 효과에 대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고광숙·김성길(2023). 부모의 자아개념 관련 부모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7(1), 7-37.
  • 권성연·김혜정·노혜란·박선희·박양주·서희전·양유정·오상철·오정숙·윤현·이동엽·정효정·최미나(202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파주: 교육과학사.
  • 김길숙(2017).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내용분석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9(4), 273-292.
  • 김민희(2022). 영유아 부모교육 이론과 연구동향을 통해 본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7), 665-683.
  • 김병성(1996). 교육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 김영환·이승민·강두봉(2017). 부모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 교육문화연구, 23(3), 75-94.
  • 김현주·손은경·신혜영(2000). 현장중심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 김희정(2023). 부모코칭역량이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감정코칭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 335-353.
  • 남창우·장선영(2012). 모바일러닝(m-learning) 환경에 적합한 협력학습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문성주·김성길(2013).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연구, 3(3), 1-16.
  •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2016). 부모교육으로 길을 찾다. http://kace.or.kr/1988790, (검색일: 2023. 12. 05)
  • 박성익·임철일·이재경·최정임·조영환(2021). 교육공학과 수업(제6판). 파주: 교육과학사.
  • 박소현(2016). 가정어린이집 학부모의 영아기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연구: 어머니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 백승선·안연경·곽경화(2017).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2), 1-24.
  • 서숙경·김은경(2012). 감정코칭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6(1), 95-109.
  • 서유리안나(2010).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양육효능감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관식·김미화(2020). 수업체제설계: 교육·훈련 프로그램개발 방법론. 파주: 양서원.
  • 이명순·고여훈(2016). 영아부모 양육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부모역량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435-456.
  • 이민효·남창우(2023).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모형 개발. 평생학습사회, 19(3), 1-27.
  • 이양숙·김미점·김장회(2022). 중학생 부모의 감정코칭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및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12(2), 27-45.
  • 이윤옥(2013). 이야기 그림책에 기초한 감정코칭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4), 163-183.
  • 임은선·홍수민·박성경·임철일(2023).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RPISD) 모형 개선 연구. 교육공학연구, 39(3), 749-785.
  • 전인경(2015).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활동이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보미·김낙흥(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 아동교육, 25(3), 377-393.
  • 정복분·정순화(2017). 부모교육. 서울: 학지사.
  • 정재삼(1996). 교수설계(ID)와 교수체제개발(ISD)의 최근 경향과 논쟁: 21세기를 대비하는 교수공학의 지식기반 구축을 위하여. 교육공학연구, 12(1), 195-225.
  • 정재삼(1998).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교과교육학연구, 2(2), 80-97.
  • 조백건(2023. 12. 4). 한국, 흑사병 때보다 인구 감소 심각. 조선일보, A1.
  • 조하영·윤미승(2022). 메타분석을 이용한 감정코칭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체계적 리뷰. 유아교육연구, 42(2), 87-105.
  • 최성애·조벽(2012). 청소년 감정코칭. 서울: 해냄출판사.
  • 최성애·조벽·존 가트맨(2020).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서울:해냄출판사.
  • 최정희(2018). 영유아 부모교육 연구 동향분석: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주현·김인홍(2019).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 양육 효능감 및 감정코칭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297-307.
  • 최혜미(2014).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어머니들의 교육 요구분석.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 7(3), 95-102.
  • 홍길회·우수정(2023). 새로운 시대의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 홍미라·김동진·황보영(2018). 영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전국사회복지연구, 12, 121-140.
  • 황영아·이선희(2020).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블렌디드 러닝 수업 운영 개선 방안 모색. 평생학습사회, 16(3), 205-226.
  • Dick, W., Carey, L., & Carey, J. O. (2009).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7th ed.). Upper Saddle River: Pearson.
  • Gottman, J. M., & Declaire, J. (1997).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The heart of parenting. New York: Simon & Schuster.
  •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https://doi.org/10.1037//0893-3200.10.3.243]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 Richey, R, C., & Klein, J. D. (2012).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개발연구(정현미·김광수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년 출간)
  • Richey, R. C., Klein, J. D., & Tracey, M. W. (2011). The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 bas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203840986]
  • Smith, P. L., & Ragan, T. J. (2005). Instructional design (3rd ed.). Hoboken: John Wiley & Sons.
저 자 정 보

성  명: 이민효 (Lee, Minhyo)

소  속: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연 락 처: lmhyo12@gmail.com

연구분야: 교수설계, 역량기반 교육과정, 블렌디드러닝

성  명: 남창우 (Nam, Changwoo)

소  속: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연 락 처: ncw753@dau.ac.kr

연구분야: 컴퓨터기반협력학습(CSCL), 디자인싱킹, 플립드러닝

성  명: 김미정 (Kim, Mijeong)

소  속: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연 락 처: cuty337@korea.kr

연구분야: 대상관계, 미술치료, 부모교육

성  명: 이수아 (Lee, Sua)

소  속: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연 락 처: suahya0907@naver.com

연구분야: 아동청소년상담, 부모교육, 학습코칭

[그림 1]

[그림 1]
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절차

[그림 2]

[그림 2]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초안

[그림 3]

[그림 3]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최종

<표 1>

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 초안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선행연구
영역
연구주제 관련문헌
부모교육 ㆍ부모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시사점 확인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및 활용방안을 탐색
ㆍ교육현장에서 부모교육 운영을 위한 절차를 정리하고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요소를 정리하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수행요소를 개발
김길숙(2017), 김현주·손은경·신혜경(2000),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2016), 최정희(2018), 최혜미(2014), 문성주·김성길(2013), 홍길회·우수정(2023)
감정코칭 부모교육 ㆍ감정코칭 부모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
ㆍ감정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ㆍ감정코칭 부모교육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자별 감정코칭 프로그램의 단계 및 주요 내용을 분석
백승선·안영경·곽경화(2017), 서유리안나(2010), 서숙경·김은경(2012), 이윤옥(2013), 최성애·조벽(2012), 최성애·조벽·존 가트맨(2020), 최주현·김인홍(2019), Gottman, Katz, & Hooven(1996)
교수설계 모형 ㆍ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방안을 제시
ㆍ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개발 방향에 대해 분석
김영환·이승민·강두봉(2017),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2016), 정보미·김낙흥(2016), 최혜미(2014), 윤관식·김미화(2020), 임은선 외(2023), 황영아·이선희(2020)

<표 2>

전문가 패널의 일반적 배경

구분 전문가 소속 직위 성별 학력 연구 및 실무 경력(년)
교육공학 전문가 A 대학 교수 박사 20
B 대학 교수 박사 18
상담
전문가
C 고등학교 상담교사 박사수료 4
D 사회복지법인 상담교사 석사졸업 8
E 대학 객원상담사 석사졸업 8

<표 3>

델파이 조사지 문항

단 계 구 분 평가항목
연구개요 연구진행 사항 및 연구개요 제시
분석(A) 요구 분석 『분석』 단계에서 추가 또는 제거(수정)해야 할 부분 등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교수자 분석
과제 분석
설계(D) 학습목표 설계 『설계』 단계에서 추가 또는 제거(수정)해야 할 부분 등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수전략 및 교수방법
평가 설계
개발(D) 교수·학습 자료개발 『개발』 단계에서 추가 또는 제거(수정)해야 할 부분 등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개발
실행(I) 실행 『실행』 단계에서 추가 또는 제거(수정)해야 할 부분 등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가(E) 평가 『평가』 단계에서 추가 또는 제거(수정)해야 할 부분 등 반영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의견을 자유롭게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표 4>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최종) 타당도 평가 영역 및 문항

영역 평가문항
타당성 이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활동과 절차가 논리적으로 타당하게 제시되어 있다.
설명력 이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내용 및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구체성 이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내용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표현력 이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활동과 절차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고 있다.
유용성 이 모형은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표 5>

Lawshe(1975)의 내용 타당도 비율(CVR) 최솟값

패널수 5 6 7 8 9 10 11 12 13 14 15 20 25 30 35 40
CVR .99 .99 .99 .75 .78 .62 .59 .56 .54 .51 .49 .42 .37 .33 .31 .29

<표 6>

1차 델파이 조사 주요 전문가 의견

교수설계 모형 단계 단계별 전문가 주요 의견
분석
학습자 분석이 중복적이고 너무 세부적임ㆍ
본 프로그램을 듣는 사람이 자녀인지 학부모인지 용어가 혼돈되므로 학습자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타당해 보임 ㆍ
인식 분석, 필요도 분석, 요구 분석, 요구 조사 등 중복적인 활동을 세 가지 정도로 압축하고, 세부 활동으로 넣어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음ㆍ
학부모와 자녀와의 관계분석이 필요해 보임
설계
과제 분석에서 다룬 내용은 모두 학습목표 설계가 들어가야할 것 같음ㆍ
영역별 교수·학습전략 보다는 교육목표, 학습목표별이 적절해 보임ㆍ
학습 목표 설계에서 대상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음
개발
본 단계에서는 실제 교안이 도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ㆍ
선행연구에 기반해서 학습자료 개발 및 평가도구 등의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
실행
본 단계에서는 일종의 사용 및 설치, 유지 및 관리의 내용이 드러날 수 있도록 보완을 하면 좋을 것 같음ㆍ
학습지원 및 피드백 실행도 필요해 보임ㆍ
실행 단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한 언급이 필요해 보임
평가
도출 및 환류의 하위 개념으로 교육 활성화가 이질적으로 보임ㆍ
참여자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으로 진술할 필요가 있음ㆍ
프로그램 참여 후 자녀와의 관계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ㆍ
현장이나 가정에서 활용(적용)된 부분에 대한 양적인 비교평가가 필요해 보임

<표 7>

2차 델파이 조사 주요 전문가 의견

교수설계 모형 단계 단계별 전문가 주요 의견
분석
본 프로그램의 학습 주체에 대한 용어를 명확히 할 것ㆍ
요구 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의 내용이 중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ㆍ
학부모 특성이 분석이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어 이후 단계를 수행할지 검토가 필요함ㆍ
온라인 부모교육, 감정코칭 외 부모교육에 대한 추가적인 선행연구가 필요함
설계
수업 구조화 단계를 통해 본 프로그램에서 주로 수행하고자 하는 수업 방법을 활용한 구조화 진행이 필요함ㆍ
과제분석에서 다룬 내용이 학습목표 설계에 적용되어야 함ㆍ
행동적 용어로 명확한 수행목표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선정할 필요가 있음ㆍ
학습 목표 설계에서 대상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음
개발
실제 교육안이 필요함ㆍ
학습자료 개발 및 평가도구 등의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
실행
세부 내용이 드러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실행,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수업 환경 점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수업 환경 관리 등이 이에 해당함ㆍ
학습지원이나 피드백 실행도 필요함ㆍ
실행단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한 언급이 필요함
평가
도출 및 환류의 하위 개념으로 교육 활성화가 이질적으로 보임ㆍ
실행의 내용이 평가에 들어가 있어서 수정이 필요함ㆍ
참여자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인 진술을 할 필요가 있음ㆍ
프로그램 참여 후 자녀와의 관계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

<표 8>

감정코칭 부모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의 내적 타당화 결과

영역 전문가별 평가 결과 평균
(5점 만점)
CVR
A B C D E
타당성 5 5 5 4 5 4.8 1.0
설명력 5 5 5 5 5 5 1.0
구체성 5 5 5 5 5 5 1.0
표현력 4 5 5 5 5 4.8 1.0
유용성 5 5 5 4 5 4.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