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Article ]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 Vol. 20, No. 4, pp.211-232
ISSN: 1738-0057 (Print) 2671-8332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Nov 2024
Received 23 Sep 2024 Revised 14 Oct 2024 Accepted 29 Oct 2024
DOI: https://doi.org/10.26857/JLLS.2024.11.20.4.211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탐색: 2004년~2024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박선희 ; 유기웅*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Exploration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Centered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4 to 2024
Sunhee Park ; Kiung Ryu*
Soongsil University
Soongsi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유기웅 ( kryu@ssu.ac.k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분석을 통하여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학술논문 중 총 100편을 대상으로 연구물 특성 및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학습공동체 연구는 2004년부터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학술지에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문 영역은 평생교육학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넷째, 연구주제는 평생학습공동체 활동 과정과 참여 경험에 관련한 실천적 연구가 활발했다. 다섯째, 연구대상으로는 일반 성인과 평생교육 사업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여섯째,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생학습공동체는 다양한 실천적 연구로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구축과 탐색작업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esearch trends and der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o this end, a total of 100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is community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4 to 2024 were analy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sults,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research in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2004, and second, research related to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journals. Third, the academic fiel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urth, practical research related to the process and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was active; fifth, as study subjects, the frequencies of general adult and lifelong education project were high. Finally, sixth, as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needs to establish a systematic theoretical foundation and research work that can be explained through various practical studies.

Keywords:

practice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ommunity, research trend

키워드:

실천공동체, 학습공동체, 평생학습공동체, 연구동향

Ⅰ. 서론

최근 우리나라 평생교육 연구는 이론보다 실천적 현상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평생교육 실천과 관련된 연구의 쟁점이 다양한 현장과 분야에서 확산하고 있으며, 실천에 기반한 평생교육의 원리와 이론 형성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김진화·박정의, 2024). 평생교육은 이제 이념이나 구호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주민의 삶 속에 구현될 수 있는 도구나 전략이 필요한 시점인 것이다(이희수 외, 2021).

평생학습사회가 필요로 하는 효과적인 학습형태이자 공동체에 대한 원초적인 희구를 충족시켜주는 학습공동체는 평생교육 실천에 있어서 매우 핵심적인 목적이자 수단의 역할을 해왔다(오혁진, 2014). 학습공동체는 평생학습도시 정책 추진으로 평생학습체제구축을 위한 지역 변화를 이끄는 집단적 학습과정으로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 중반 이후 평생교육법 제정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평생교육에 관해 관심을 가지면서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설립 등의 움직임이 있었다(권대봉 외, 2017). 이후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라 정부에서는 ‘평생학습 진흥 종합 계획’의 지역화 전략에 기초하여 2001년부터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을 시작하였다. 평생학습도시는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의 교육을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의 문제뿐만 아니라 학습 참여 결과를 다시 어떻게 지역으로 환원되는가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개인이 평생학습에 참여함으로써 개인적으로 성장을 하는 것은 물론 사회적 변화의 중심적 참여를 해야 함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양병찬, 2007).

‘학습공동체’의 개념은 시대의 흐름 속에 소집단 차원의 학습동아리, 조직 차원의 학습조직, 지역사회 차원의 지역학습공동체로 그 의미가 변화하고 확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학습동아리와 학습조직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함께 존재하면서 종적·횡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지역학습공동체를 발전시킨다(오혁진, 2014). 지역학습공동체 구현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것이 바로 ‘평생학습도시’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관련 국내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지역공동체 학습동아리 특징 및 학습공동체 성장단계와 학습촉진에 관한 연구(차성연, 2006; 허혜숙, 2003), 지역학습공동체 성장단계에 관한 연구(송정환, 2011; 지희숙, 2008), 지역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과 실천원리에 관한 연구(김영옥, 2015; 김종선, 2018; 박선경, 2011; 이소연, 2014), 주민 자생적 실천공동체 형성과정(주옥채·김남순·기영화, 2012; 한진아, 2016), 네트워크 형성과정(홍숙희, 2011), 실천공동체에 입각한 평생학습도시 변천에 관한 연구(전재희, 2013), 공공영역의 실천공동체 활동에 관한 연구(배영주, 2019; 이진이, 2018) 등이 있다. 학습공동체는 일상생활에서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이 지역사회에서 지역의 과제를 찾고 이때 지역 과제가 학습과제로 연결되게 되며, 주민의 사회 참가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역의 공동체성은 현대인들의 재요구와 함께 그 의미가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데, 시대적 흐름 속에서 지역사회 내 공동체가 지향하는 의미와 가치는 학습하는 지역공동체, 즉 실천공동체를 지향하고 있다(이준석·백정선, 2017). 실천공동체의 영역도 시대적 환경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1990년대는 일터 영역인 도제제도 기반에서, 2000년대 중반이 되면서 기업의 팀 차원에서 더 나아가 성공적 성과 창출을 위한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2000년대 후반 이후에는 조직 간, 국가 간을 모두 포괄하여 사회 전체를 학습이 일어나는 시스템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데(박보람·정진철, 2020), 이는 실천공동체의 영역이 지역사회와 평생교육 영역으로 확대됨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들에서도 지역 평생학습은 지역사회 중심으로, 주민 주체적 실천으로, 공동체 학습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 대부분 의견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박상옥, 2010; 박선경, 2011; 양병찬, 2007; 양흥권·최상근, 2006; 허준, 2006). 또한, 주옥채·김남순·기영화(2012), 박선경(2011), 전재희(2013), 이소연(2014), 김종선(2018) 등의 논문에서는 학습공동체를 공통된 관심사와 목적을 공유한 사람들이 지역에서 실천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실천공동체의 구성요소를 분석의 틀로 검토 분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평생교육 분야에서 실천공동체를 적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우며(이소연, 2012), 실천공동체 이론이 지역의 학습공동체 형성, 성장, 그리고 실천적 적용에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됨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수단으로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확장되는 지역학습공동체가 지향하는 평생교육 영역의 실천공동체를 평생학습공동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에, 확장되고 실천적 접근으로 발전하고 있는 평생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재탐색하고,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평생학습공동체의 방향성과 발전 전략 모색을 위해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20년간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논문을 연도별, 학문영역, 게재학술지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Ⅱ. 선행연구 고찰

1. 평생학습공동체의 개념

평생학습공동체에 대한 개념 탐색에 앞서, 공동체(community)의 의미와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CoP)의 의미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공동체(community)는 지역사회의 공동체적 성격과 지역사회의 자원 활용, 지역사회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평생교육 개념이라는 요소들이 포함된다(임영희, 2010). 인간의 삶 속에서 공동체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공동체를 형성함에 있어 개인과 구성원들 간의 얻게 되는 효과도 매우 크다. 매일 반복되는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은 개인과 타인으로 형성된 공동체 관계에서 벌어지고 해결되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학습은 혼자 이루어지기보다는 개인의 환경과 복합적 관계 맺음을 통하여 끊임없이 구성되는 맥락적 과정이다(한숭희, 2001).

일반적 의미에서 ‘공동체’를 ‘특정한 사회적 공간에서 공통의 가치와 유사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 혹은 특정 지리 영역 내에서 한 가지 이상의 공통 유대 관계를 맺고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할 때(Hillery, 1955), 이처럼 전통적 근린관계를 내포하는 마을은 그 자체가 하나의 공동체로서 이해되기에 충분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자본주의 거대 도시에서는 더 공간적 근접성이 근린을 규정하는 기준이 되지 못한다. 자본주의적 노동이 사람들의 주거지와 일터를 분리하여 대도시화를 가져왔으며, 교통 및 통신 수단의 발전으로 오늘날 대도시에서는 대면적 접촉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사이버공간에서의 접촉이 늘어나고, 물리적 근접성보다는 사회적 근접성이 훨씬 중요하게 인식되는 상황에서 이제 지역에 기반한 전통적 근린관계는 급속히 약화된다. 같은 지역에 살아도 전혀 소통하지 않고 연대하지 않아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대신 다른 지역에 흩어져 사는 직장 동료나 종교 집단 구성원, 동호회 친구 등과 근린관계, 곧 상부상조와 긴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살기 때문에, 이제는 같은 마을, 같은 주거지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공동체적 감정이나 정체성 형성을 가져다주지 않는다. 이제 마을은 단순한 ‘거주지’에 불과한 것이며, 더 ‘마을=근린관계=공동체’ 도식은 성립하지 않는다(배영주, 2019).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는 지역에서 ‘학습을 목적으로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공동체’이다(권인탁, 2004). 학습공동체 개념에 대한 논의는 두 가지 기대를 배경으로 하는데 첫째, 학습공동체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보는 관점으로 평생학습 이념의 구현할 수 있는 장으로 보는데, 학습 주체의 삶 속에서 생활세계와 학습의 복원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 학습공동체의 ‘지역성’에 주목하여 지역사회 전체를 하나의 공동체로 보는 관점으로 평생교육 지역화를 꾀하고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과 평생학습을 이용한 사회·경제적 재생에 목적을 둔다. 학습공동체는 넓은 의미에서 ‘지역의 무형식 학습’을 부각하고 있으며, 좁은 의미에서는 ‘학습동아리’와 같이 일정한 학습 의도성과 형식성을 전제로 한 집단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양상을 의미한다(김영옥, 2015). 즉, 작은 학습 집단인 학습동아리에서부터 지역학습공동체에 이르기까지 학습공동체 개념의 적용 범위는 광범위하고 다차원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오혁진, 2005).

실천공동체는 실천과 의미를 공유하는 집단이다. 우리는 누구나 실천공동체에 속해 있다. 가정, 직장, 학교, 그리고 취미 활동에서 우리는 동시에 여러 실천공동체에 속해 있고, 우리가 속한 실천공동체들은 우리 삶의 과정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실천공동체는 사회적 공간에 어디든 존재하며, 사회적 책무성을 기반으로 실천공동체에 주도적 참여를 통하여, 정체성과 역량을 확립해 나가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변화되었다. 이는 실천공동체를 사회적 공간에서 참여를 통한 실천으로 정체성과 역량을 찾아가는 지속적인 학습 참여 과정으로 개념화하고 있다는 측면으로, 실천공동체가 평생교육의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박보람·정진철, 2020). 국내 선행연구에서 지역의 학습공동체는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권인탁(2004), 임영희(2010), 김종선(2018)은 지역평생학습공동체로, 김영옥(2015)은 실천학습공동체로, 박선경(2011)은 평생학습공동체로, 송정희·유기웅(2017)은 지역사회 학습공동체로 정의하고 있다. 용어와 개념 간의 약간의 차이는 보이지만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개인 혹은 사회관계는 평생학습을 매개로 한 공동체를 구축한다는 것은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에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관심 분야의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지향하여 성장하는 평생교육학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실천공동체를 평생학습공동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특히, 평생학습공동체가 실천공동체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는, 학습 참여를 통해 실제 문제 해결에 활용하여 개인과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구성원 간의 협력을 통해 집단 지성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천공동체는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성장하고, 공동의 목표를 통해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강화한다. 이러한 과정은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표 1>과 같이 공동체와 학습공동체, 실천공동체 그리고 평생학습공동체의 개념을 정리할 수 있다.

평생학습공동체 개념

2. 실천공동체로서 평생학습공동체의 구성요소

실천공동체는 정의뿐 아니라,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학자별로 다양하게 논의되었다. Wenger(1998)에 의해 처음으로 공동업무, 상호참여, 공유자산으로 실천공동체의 구성요소가 제시되었으며, 이후 2000년대 초·중반까지 여러 학자에 의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실천공동체 구성요소 관련 학자들의 문헌을 비교해 보면 학자마다 실천공동체 구성요소라고 제시하는 용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그 용어가 의미하는 바가 유사한 속성 가지고 있거나 상위 또는 하위범주에 포함되는 개념들로 용어 간에 유목화를 통해 실천공동체의 구성요소는 주제영역, 상호참여, 실천, 학습환경 네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박보람·정진철, 2020).

첫째, 주제영역(domain)은 참여하는 구성원이 공통으로 갖는 관심사이자 문제이다. 공동체는 무엇을 주제영역으로 하느냐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제영역 선택 시에 충분한 탐색과 숙고를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실천공동체 안에서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행위에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주제영역은 구성원들이 상호작용을 거쳐 정해지고 실천하는 가운데 의미부여가 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구성원의 연대와 책임의 공유를 만들어 낸다(Wenger, 1998). 단순한 인적 네트워크 이상의 의미가 있고 그들이 공유하는 책임과 연대는 강제적으로 전가되거나 만들어진 것이 아니므로 구성원들은 실천하는 동안 무엇을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자신의 책무를 생각하며 끊임없이 고민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상호참여(mutual engagement)는 실천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호혜성을 바탕으로 하여 그들의 고유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Wenger, 1998; 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실천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 구성원들은 정기적인 상호참여를 해야 한다. 자신의 영역에 대한 공유된 이해와 실천에 대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소중한 관계를 구축한다. 장기간의 상호작용이 공통의 역사와 공동의 정체성을 만들어 내지만, 이상적인 실천공동체의 특징이 동질성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각 구성원은 공동체와 관련하여 고유한 개인 정체성을 개발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호참여는 공통성과 다양성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셋째, 실천(practice)은 생성된 지식과 방법 그리고 도구, 이야기, 사례, 문서들의 집합체로 구성원들이 함께 실천을 통해 개발하고 공유하는 여러 형태의 공유자산을 의미한다(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넷째, 학습환경(learning environment)은 가상 공간 혹은 직접 대면으로 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가 이뤄지는 공간 또는 시간적 환경으로(Hill, 2002; Lesser, Fontaine, & Slusher, 2000) 2000년대 이후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가상공동체가 등장하였고, 공동체 활동이 일어나는 학습공간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까지로 확대되면서 실천공동체 구축을 위한 학습환경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로 새롭게 제시되었다(박보람·정진철, 2020).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다양한 선행연구(김종선, 2018; 이소연, 2014; 이수경, 2013; 전재희, 2013; 주옥채, 2014)에서 공통된 관심사와 목적을 공유한 사람들이 지역에서 실천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실천공동체의 구성요소를 분석의 틀로 검토 분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천공동체 구성요소가 평생학습공동체의 형성과 성장과정을 탐색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으며, 평생학습공동체가 구축되고 성장하여 실천적 적용을 하는데에 중요한 이론적 배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Ⅲ. 연구방법

1. 대상 선정 기준 및 절차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하여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였다. 최초 문헌검색은 2024년 7월 5일에 실시하였으며, 2004년 1월부터 2024년 6월1)까지 게재된 논문으로 하였다. 자료유형은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이상 논문으로 선정하여 연구의 질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색어로는 소집단 차원의 학습공동체인 학습동아리, 지역사회의 학습과 관련된 실천공동체 관련 단어들을 사용하여 ‘학습동아리’, ‘평생학습공동체’, ‘평생학습실천공동체’, ‘실천공동체’, ‘실천학습공동체’,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등으로 사용하였다. 검색된 논문 가운데 본 논문 주제에 적합한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논문의 제목, 주제어와 초록 등을 검토하여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을 정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의 선정과 배제 기준은 다음 <표 2>와 같다.

연구대상 선정 및 배제 기준

먼저 검색된 총 479편의 논문 중 등재 후보 논문 73편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지역의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주제에 적합하지 않은 논문 296편을 제외하였다. 3차로 정리된 논문 가운데 제목과 주제어, 초록을 엄격하게 재검토하였고 주제어가 논문의 제목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초록 또는 본문에 언급된 경우로 내용이 연구주제에 적합하지 않은 주제 논문 10편을 제외하였는데, 예를 들면 프레이리 이론에 기반한 사회복지시민교육 프로그램 분석(이현숙·김영애, 2021)의 경우 주제어로 ‘학습동아리’로 제시 되었지만 본문에만 언급되어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라고 파악되는 100편의 학술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동향 분석요소와 분석의 틀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연구동향 분석요소와 틀 선정을 위한 문헌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김태균·유기웅, 2022; 장경미·양세희·현영섭, 2017; 현영섭, 2017)들을 종합해 보면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발행 년도와 게재학술지, 학문영역을 통한 연구물의 특성분석과 연구주제나 대상, 연구방법 분석을 통한 분석의 틀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분석은 특정한 범주를 이용하여 문헌의 내용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체계화하여 고찰하는 방법으로 학술지의 특정 주제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유용하다(성세실리아·조대연, 2016; 유기웅, 2014). 평생학습공동체를 다룬 연구물을 연구물 특성과 연구내용 특성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따른 분석요소를 다음 <표 3>과 같이 구성하였다.

분석요소

평생학습공동체와 관련한 100편의 논문을 기반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요소의 틀을 구성하였다. 연구물 특성은 학술지 출판연도와 학술논문 발행 학술지, 학문영역은 평생교육 영역, 교육학 영역, 비교육학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요소로 설정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의 영역에서는 연구주제와 연구대상의 영역 및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주제는 이론과 실천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참여자와 평생교육사업, 문헌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실천적 연구, 이론적 연구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맞게 유기웅(2014), 장경미·양세희·현영섭(2017)의 분류방식으로 구성한 분석의 틀을 다음 <표 4>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분석의 틀


Ⅳ. 연구결과

1. 발행년도에 따른 분석

평생학습공동체와 관련한 국내 학술지게재 연구 논문 100편을 게재연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04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논문을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7편의 연구논문이 발표되었고, 2009년~2012년은 17편, 2013년~2016년은 28편, 이후 2017년~2020년은 21편, 2021년~2024년은 27편으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의 발행년도 구간별 논문편수는 다음 <표 5>와 같다.

발행년도 구간별 논문편수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 지역 학습문화 형성과 실천공동체 연구가 2000년 초반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며(장경미·양세희·현영섭, 2017; 전재희, 2013) 평생교육공동체 관련 연구도 2001년 시작된 평생학습도시사업 등으로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에 관심으로 가지면서 꾸준히 이루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2. 게재학술지에 따른 분석

최근 20년(2004년~2024년) 동안 국내 발표된 연구논문을 학술지별로 구분한 결과 총 33개의 학술지에서 다음과 같은 분포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20년간 평생학습공동체 연구를 게재한 학술지는 총 33개로 ‘평생교육학연구’가 2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생학습사회’가 16편, ‘Andragogy Today’ 9편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5편, ‘교육문화연구’ 4편, ‘인문사회21’, ‘공공사회연구’, ‘교육인류학연구’, ‘열린교육연구’, ‘평생교육·HRD연구’ 각각 3편, ‘교육종합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각각 2편이었다. 이 외의 각각 1편씩의 연구논문이 있다. 다음 <표 6>은 게재 학술지에 따른 분석 결과이다.

게재학술지에 따른 분석

평생교육학 대표 학술지인 평생교육학연구, 평생학습사회, Andragogy Today에서 46편의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학연구는 평생교육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해석적 연구, 현장 지향적 연구를, 평생학습사회는 교육학의 전통적 주제 범위를 넘어서 다양한 주체들을 위한 탐색적, 융합적 연구를, Andragogy Today는 정규교육과정 학습자 대상 논문을 제외한 성인들의 교육과 학습을 다루는 모든 분야를 논문으로 게재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의 실천이 중심이 되는 평생교육공동체 연구도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학문 영역에 따른 분석

학문 영역에 따른 분석의 틀로 평생교육학 영역, (일반)교육학 영역, 비교육학 영역으로 세가지 분류방식을 채택하였는데, 통상적인 분류기준에 따르면 교육학 내에 분야 교육학으로 평생교육학이 포함되지만 이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평생교육 정책연구 동향 분석(장경미·양세희·현영섭, 2017)를 실시한 선행연구 분석의 틀을 사용하였다.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총 100편의 연구 분야를 학문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학 영역이 55편(55%)으로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일반)교육학 영역이 34편(34%)이며, 비교육학 영역은 11편(11%)으로 나타났다. 비교육학 영역으로는 경영학, 인문학이 각각 3편(3%), 문헌정보학, 신문방송학, 여성학, 지리학, 행정학 영역에서 각각 1편(1%)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학문의 영역별 연구분야 빈도 및 비율은 <표 7>과 같다.

학문영역에 따른 분석

4.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주제들은 크게 이론과 실천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9편(9%)이었으며, 실천에 속하는 연구는 91편(91%)으로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이론적 연구들은 대체로 마을공동체, 마을교육공동체, 실천공동체의 개념 탐색(김미향, 2020; 박보람·정진철, 2020), 지역공동체 개념에 관한 연구(오혁진, 2006) 등이 있었다. 실천에 관한 부분은 주로 활동 과정과 경험에 관한 연구가 30편(30%)으로 가장 많았으며, 효과 검증 관련 연구가 19편(19%), 사례 및 현장 연구가 17편(17%)로 나타났다. 이 외에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13편(13%), 분석에 관한 연구 8편(8%), 개발에 관한 연구는 4편(4%)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

지역평생교육의 역할이 결국 공공성과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추구하며, 평생학습공동체를 구축하고 활성화하면서 다양한 실천 사례를 탐색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활동 과정과 경험에 관한 연구는 지역학습공동체, 고령자의 온라인공동체 활동, 중년여성의 학습동아리 활동 등(김유정·박진영, 2019; 오지연, 2023; 차혜경·기영화, 2019) 등 다양한 지역과 대상의 활동경험과 참여경험을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례 및 현장 연구로는 실제 평생학습도시에서 구축된 평생학습공동체의 다양한 사례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노인학습동아리의 사회적기업으로 변화한 사례(김정진, 2017),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의 재능기부 학습동아리 사례연구(김영옥, 2015)등이 있다. 효과 검증관련 연구는 주로 학습동아리, 공동체 참여를 통한 삶의 질, 만족도, 문제해결 능력 등의 검증에 대한 연구(문은진·홍아정, 2014; 박상옥, 2015)가 있다.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참여자의 인식과 역량 분석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김은경·박상옥·박귀자, 2021; 현영섭, 2016), 개발에 관한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준거, 역량 모델 개발 등에 관한 연구 예를 들면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량 모델 개발 연구(유예인, 2022) 등이 있다.

5.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연구대상은 참여자와 평생교육사업, 문헌연구를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은 분석의 단순성과 명확성을 위해 가장 비중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의 연구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식을 택하였다. 참여자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에서는 주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39편(39%)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논문 14편(14%), 노인과 장애인이 각각 5편(5%), 교사와 평생교육기관 담당자가 각각 3편(3%)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사업으로는 마을과 지역이 가장 많은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14편(14%), 평생학습도시 관련 연구 5편(5%)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6.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의 기준으로 다양한 접근 방식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외 인적자원 개발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연구(유기웅, 2014; 장환영·손지영·하정례, 2013)를 실시한 선행연구를 기준으로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이론적 연구, 실천적 연구의 네 가지 분류방식을 채택하였다. 양적연구에는 실험연구와 양적 통계 분석을 적용하여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포함하였다. 질적 연구에는 현상학적 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실행연구 등 관찰, 면접 등의 방법으로 절적 자료를 분석한 연구들을 포함하였다. 실천적 연구에는 프로그램 개발, 평가문항 개발, 측정도구 개발 등을 포함하였다. 이론적 연구에는 이론적 논의, 문헌연구등을 포함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평생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표 10>과 같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연구방법에 따른 현황을 보면 질적연구가 60편(6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사례연구가 52편(52%), 근거이론 4편(4%), 실행연구 3편(3%), 현상학적 연구 1편(1%)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양적연구는 조사연구가 17편(17%)으로 나타났으며 이론적 연구 중 이론적 논의가 10편(10%)으로 나타났다.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성장 과정을 통해 학습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하는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에서는 질적연구 그중에서도 사례 연구가 52%를 차지하였는데, 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관련 연구들을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여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론적인 기초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방향이나 연구주제를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최근 20여 년간 국내 학술지에 제재된 총 10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는 2000년 초반부터 꾸준히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경미·양세희·현영섭(2017)은 평생교육 정책 동향 분석을 통해 2000년대부터 2011년까지가 성장과 중흥의 시기, 2012년 이후에는 다양화기로 분석하였는데, 평생교육 정책의 성장과 중흥기를 거쳐 다양화기로 이어지면서 지역이라는 화두가 확산되고 지역과 실천공동체 관련 연구 또한 꾸준히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상황학습의 관점으로 실천으로서 지식을 강조하는 흐름으로 교육학 분야에서의 실천공동체 관련 연구가 2000년 초반부터 최근까지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밝힌 임규연·김영주·은주희(2017)의 연구 결과 와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2001년부터 시작된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포함하여 정부의 지역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 집행으로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는 학습문화 형성을 통해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형성함으로 평생학습공동체 구축과 활성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으로 해석을 내릴 수 있다.

둘째, 게재 학술지와 연구 분야를 분석해보면 연구를 게재한 학술지는 총33개로 ‘평생교육학연구’가 2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외의 다양한 학술지를 통해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논문이 게재되고 있었다. 지역평생교육의 추진 체제구현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평생교육학회가 2000년 초반 발행을 시작하면서 지역 평생교육에 관한 관심과 지원이 촉진되고 연구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학문 영역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학 영역이 55편(55%)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교육학 영역이 34편(34%), 비교육학 영역이 11편(11%)으로 나타났다. 비교육학 영역에서 다루는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는 경영학, 인문학, 여성학, 문헌정보학, 지리학, 행정학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예를 들면 평생학습을 통한 실천공동체 결성으로 노인의 사회적 기업가 성장과정 사례연구(김정진, 2017)는 경영학 영역에서, 일본 공동도서관에서의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 공동체 형성 전략에 관한 연구(임형연, 2021)는 인문학 영역에서 다루어 지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자체가 내용이나 대상의 규정은 명확하지만, 학제 간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어,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또한 스펙트럼이 확장되어 평생교육 영역은 물론이고, 교육학, 경영학, 인문학 등의 주변 학문과 중첩된 영역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김진화·고영화·성수현, 2007) 보이며, 평생학습을 통한 개인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함께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다학제간의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가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주제 분석 결과 이론적 연구보다는 실천적 연구, 그중에서 활동 과정과 경험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평생학습공동체 연구들은 주로 지역에서의 다양한 활동 경험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활동 경험과 사례연구는 상황과 맥락 속에서 해석되는 경향으로 대상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의 실천적 적용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겠지만 앞으로 평생학습공동체 활동 경험과 사례를 통한 효과 검증 및 다양한 프로그램, 평가 준거, 평생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실천가들의 역량모델 개발 등의 다양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연구 대상은 참여자와 평생교육 사업, 문헌연구로 분류하였는데, 참여자는 일반 성인이, 평생교육 사업으로는 마을과 지역 관련 연구가 많이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로 평생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대상이 마을과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일반 성인이 많이 참여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상대적으로 평생 교육기관 담당자와 평생학습도시 관련 연구는 적게 나타났는데 실제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역할과 역량 연구 및 평생학습도시 사업의 성과와 분석을 통한 연구 등 다양한 대상을 발굴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 질적연구가 60편(6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연구방법에 비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적연구는 조사연구와 이론적 논의 각각 17%, 10%로 나타났다. 질적연구 중에서도 사례연구가 52%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평생학습공동체가 그 자체로 지역의 평생학습을 실천하면서 성장하는 중요한 맥락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례연구를 통해 특정 평생학습공동체를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사례연구를 통해 평생학습공동체의 발전과 정책수립을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 평생교육의 현장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구축과 탐색작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공동체를 실천공동체의 개념과 구성요소로 대입하여 개념을 정리하였는데, 평생교육 현장의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면, 평생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으로 활동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지역 평생교육 정책을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이론을 활용하여 사례를 분석하는 연구뿐만 아니라, 사례들을 충분히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 된다면 평생학습공동체는 기존의 교육이론에 새로운 실천 사례를 제공하며,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평생학습공동체와 관련된 문헌연구와 양적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국내에서는 질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문헌연구와 양적연구는 다소 적은 편이었다. 또한, 평생학습공동체의 발달과정과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탐색 되었으나, 양적 통계를 활용한 여러 변수 간 관계를 논하는 연구와 평생학습공동체의 지역에서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밝힌 논문은 많지 않았다. 추후에는 평생학습공동체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탐색하거나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일반화를 통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양적연구가 보다 활발 하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구체적인 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설계요소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실질적으로 평생학습공동체가 지속해서 발달하는 데 필요한 설계요소나 그 원리에 관한 연구는 아주 소수에 불과하였다. 구성원 각자의 활동과 역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 역시 평생학습공동체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랫동안 결속력 있게 운영된 성공적인 평생학습공동체를 사례로 하여 구성원들 간의 연결망과 활동 참여 의미를 분석한다면 추후 평생학습공동체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Notes
1) 연구자는 평생학습공동체 연구의 최신 동향을 반영하고자 학술지 게재논문을 2024년 6월까지 검색하여 반영하였음

References

  • 권대봉·박지혜·박진영·유기웅·현영섭(2017). 평생교육의 세 가지 지평: 기반·실천·가치. 서울: 박영스토리.
  • 권인탁(2004).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 교육학연구, 42(2), 185-215.
  • 김미향(2020).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평생학습사회, 16(1), 27-52. [https://doi.org/10.26857/JLLS.2020.2.16.1.27]
  • 김영옥(2015).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 연구: 재능기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2), 189-213. [https://doi.org/10.26857/JLLS.2015.05.11.2.189]
  • 김유정·박진영(2019). 중년여성의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전환학습경험 탐색. 평생교육·HRD연구, 15(4), 137-172. [https://doi.org/10.35637/klehrd.2019.15.4.006]
  • 김은경·박상옥·박귀자(2021). 지자체 평생교육 담당자가 인식한 학습동아리 성장 지원 이슈. 평생학습사회, 17(2), 1-28. [https://doi.org/10.26857/JLLS.2021.5.17.2.1]
  • 김정진(2017). 노인의 사회적기업가 성장과정 사례연구.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10(1), 69-94. [https://doi.org/10.32675/ses.2017.10.1.003]
  • 김종선(2018).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남양주 학습등대의 실천적 해석 연구.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https://www.doi.org/10.23169/cau.000000227536.11052.0000509
  • 김진화·고영화·성수현(2007). 한국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동향과 과제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13(4), 89-122.
  • 김진화·박정의(2024). 평생교육 실천요소의 개념 생성과 유형화. 평생교육학연구, 30(2), 181-207. [https://doi.org/10.52758/kssle.2024.30.2.181]
  • 김태균·유기웅(2022). 성인 대상 마인드셋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dragogy Today, 25(4), 1-26. [https://doi.org/10.22955/ace.25.4.202211.1]
  • 문은진·홍아정(2014).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연구, 20(3), 109-136.
  • 박보람·정진철(2020). 실천공동체의 개념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26(2), 41-70. [https://doi.org/10.52758/kjle.2020.26.2.41]
  • 박상옥(2010). 지역사회와 학습의 관계 탐색 -지역사회 형성 및 발전과정으로서 학습활동-. 평생교육학연구, 16(2), 145-164.
  • 박상옥(2015).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평생학습사회, 11(3), 195-220.
  • 박선경(2011).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 배영주(2019). 지방자치단체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실천공동체(CoP)적 운영 방안 탐색. 교육문화연구, 25(3), 209-228.   [https://doi.org/10.24159/joec.2019.25.3.209]
  • 성세실리아·조대연(2016). HRD 분야에서 코칭 관련 연구 동향 탐색: 2000년-2015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HRD연구, 11(3), 1-24. [https://doi.org/10.21329/khrd.2016.11.3.1]
  • 송정환(2011). 지역공동체 지향적 학습동아리의 성장단계별 특성과 활성화 요인. 석사학위 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 송정희·유기웅(2017). 지역사회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41-253. [https://doi.org/10.21097/ksw.2017.05.12.2.241]
  • 양병찬(2007).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평생교육학연구, 13(4), 173-201.
  • 양흥권·최상근(2006). 지역사회 중심 평생학습운동의 추진방향 탐색: 외국의 평생학습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1), 109-122.
  • 오지연(2023). <은평 우리동네배움터> 운영자들의 지역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에듀테인먼트연구, 5(4), 1-19. [https://doi.org/10.36237/koedus.5.4.1]
  • 오혁진(2005).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1(1), 23-41.
  • 오혁진(2006).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고찰. 평생교육학연구, 12(1), 53-80.
  • 오혁진(2014).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 서울: 집문당.
  • 유기웅(2014).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 분석: 최근 10년(2004-2013) 간 AHRD 학술지를 중심으로. HRD연구, 16(2), 1-23. [https://doi.org/10.18211/kjhrdq.2014.16.2.001]
  • 유예인(2022).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모델링 및 교육요구도 분석.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이소연(2012). 실천공동체(CoP)에 입각한 지역사회교육운동 사례의 성과요인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8(3), 57-82.
  • 이소연(2014). 지역사회교육운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https://www.doi.org/10.23169/cau.000000077742.11052.0000410
  • 이수경(2013). CoP 모델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과정과 삶의 만족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https://www.doi.org/10.23169/cau.000000068383.11052.0000406
  • 이준석·백정선(2017). 실천공동체(CoP)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실천(praxis) 형성과정. 교육사회학연구, 27(3), 135-156. [https://doi.org/10.32465/ksocio.2017.27.3.005]
  • 이진이(2018). 실천공동체로서 주민자치위원회의 평생교육학적 함의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현숙·김영애(2021). 프레이리 이론에 기반한 사회복지 시민교육 프로그램 분석: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사례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7(2), 29-60. [https://doi.org/10.26857/JLLS.2021.5.17.2.29]
  • 이희수·김혜영·송영선·홍숙희·이소연·백수정·안동윤·황윤주·오성숙·장윤영(2021). 평생교육의 육의전을 열다. 서울: 학지사.
  • 임규연·김영주·은주희(2017). 기업 및 공공조직 실천공동체(CoP) 국내 연구동향 분석: C4P모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9(3), 241-268. [https://doi.org/10.46260/KSLP.19.3.9]
  • 임영희(2010). 지역평생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단체와의 평생교육체제 구축 전략. 교육종합연구, 8(3), 109-130.
  • 임형연(2021). 일본 공공도서관의 지역공동체 형성 비전과 진화. 외국학연구, 58, 571-600. [https://doi.org/10.15755/jfs.2021.58.571]
  • 장경미·양세희·현영섭(2017). 평생교육 정책연구 동향 분석: 1995년-2016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Andragogy Today, 20(4), 93-127. [https://doi.org/10.22955/ace.20.4.201711.93]
  • 장환영·손지영·하정례(2013). 학회지 분석을 통해 본 HRD 이슈와 동향 탐색. HRD연구, 15(2), 1-22. [https://doi.org/10.18211/kjhrdq.2013.15.2.001]
  • 전재희(2013). 실천공동체(CoP)에 입각한 평생학습도시 변천 연구 –광명시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s://www.doi.org/10.23169/cau.000000067870.11052.0000413
  • 주옥채(2014). 마을공동체 속 CoP의 형성 과정에 관한 탐색 -장흥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 주옥채·김남순·기영화(2012). 지역사회의 주민 자생적 CoP의 형성과정 연구 -장흥학당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4(4), 1-26.
  • 지희숙(2008). 지역공동체 학습을 통한 지역네트워크 형성과정 연구 -부산 반송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 차성연(2006). 지역학습공동체의 학습 촉진 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차혜경·기영화(2019). 고령자의 온라인공동체 활동에 나타난 확장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5(1), 291-315.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291]
  • 한숭희(2001).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평생교육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 한진아(2016). 실천공동체로 성장한 학습동아리 사례연구 -수원 YMCA 생명밥상교육 학습동아리-.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허준(2006). 부안 핵폐기장 유치 반대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 평생교육학연구, 12(4), 203-223.
  • 허혜숙(2003). 평생학습차원의 성인학습동아리 사례 분석.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현영섭(2016).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역량 분석. 교육문화연구, 22(5), 259-289. [https://doi.org/10.24159/joec.2016.22.5.259]
  • 현영섭(2017). 평생교육 담당자 연구동향: 1998년-2016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Andragogy Today, 20(1), 65-93. [https://doi.org/10.22955/ace.20.1.201702.65]
  • 홍숙희(2011). 지역거버넌스에 의한 부천 지역평생교육 체제 형성과정 연구. 박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https://doi.org/10.23169/cau.000000042559.11052.0000348]
  • Hill, J. R. (2002). Overcoming obstacles and creating connections: Community building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14(1), 67-86. [https://doi.org/10.1007/BF02940951]
  • Hillery, G. A., Jr. (1955). Definitions of community: Areas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2), 111-123.
  • Lesser, E. L., Fontaine, M. A., & Slusher, J. A. (2000). Knowledge and communities. Woburn, MA: Butterworth-Heinemann. [https://doi.org/10.4324/9780080509785]
  •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803932]
  •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 M.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저 자 정 보
박 선 희 Park, Sunhee

소   속: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연 락 처: sunnyhan6@sen.go.kr

연구분야: 평생학습공동체, 평생학습활동가

유 기 웅 Ryu, Kiung

소   속: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연 락 처: kryu@ssu.ac.kr

연구분야: 커리어 및 학습코칭, 인적자원 및 조직개발

<표 1>

평생학습공동체 개념

구분 세부내용
공동체 한 가지 이상의 공통 유대 관계를 맺고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집단(Hillery, 1955)
학습공동체 학습을 목적으로 학습자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공동체(권인탁, 2004).
실천공동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상호작용에 의하여 어떤 관심이나 문제 혹은 주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거나 자신의 지식과 전문성을 심화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임(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평생학습공동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관심 분야의 자발적인 학습을 통해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지향하여 성장하는 평생교육학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실천공동체

<표 2>

연구대상 선정 및 배제 기준

기준 세부내용
선정 기준 • 2004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 연구주제가 평생학습공동체 관련으로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배제 기준 • 지역의 평생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주제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의 논문
• 초록 또는 본문에만 주제어로 언급된 논문

<표 3>

분석요소

영역 세부내용
연구물 특성 발행연도, 게재학술지, 학문영역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의 영역, 연구방법

<표 4>

분석의 틀

영역 분석요소 세부 분류 기준
연구물 특성 게재학술지 학술논문 발행 학술지
발행 년도 학술지 출판연도
학문 영역 평생교육학 영역, 교육학 영역, 비교육학 영역
연구내용
및 방법
연구주제 이론 개념 및 이론
실천 사례 및 현장, 활동과정 및 경험, 정책 및 제도
분석, 효과 검증, 개발
연구대상의 영역 참여자(일반 성인, 여성, 노인, 교사, 기관 담당자, 대학생, 장애인)
평생교육사업(대학, 비영리민간단체, 평생학습도시, 마을 및 지역, 도서관, 교육지원청, 지원조직), 문헌연구
연구방법 양적연구, 질적연구, 실천적 연구, 이론적 연구

<표 5>

발행년도 구간별 논문편수

구분 논문수(편) 비율(%)
2004년∼2008년 7 7
2009년∼2012년 17 17
2013년∼2016년 28 28
2017년∼2020년 21 21
2021년∼2024년 27 27
100 100

<표 6>

게재학술지에 따른 분석

구분 학술지명 빈도
1 평생교육학연구 21
2 평생학습사회 16
3 Andragogy Today 9
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5
5 교육문화연구 4
6 인문사회21, 공공사회연구, 교육인류학연구, 열린교육연구, 평생교육ㆍHRD연구 3
7 교육종합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
8 교육과학연구, 교육문제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학연구, 교육방법연구, 교육사회학연구, 교육행정학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다문화와 평화, 문화교육과 다문화교육,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사회적가치와 기업연구, 에듀테인먼트연구, 여성연구, 의학교육논단, 외국학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한국언론정보학보, HRD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지역사회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직업능력개발연구 1

<표 7>

학문영역에 따른 분석

구분 빈도 백분율(%)
1 평생교육학 영역 55 55 55 55
2 (일반)교육학 영역 34 34 34 34
3 비교육학 영역 경영학 3 11 3 11
문헌정보학 1 1
신문방송학 1 1
인문학 3 3
여성학 1 1
지리학 1 1
행정학 1 1
100 100 100 100

<표 8>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

영역 하위범주 빈도수 백분율(%) 백분율(%) 소계 빈도
이론 개념 및 이론 9 9 9 9
실천 사례 및 현장 17 17 91 91
활동과정 및 경험 30 30
정책 및 제도 13 13
분석 8 8
효과 검증 19 19
개발 4 4
100 100 100 100

<표 9>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연구대상 구분 빈도 백분율(%)
1 참여자 (일반)성인 39 69 39 69
여성 14 14
노인 5 5
교사 3 3
기관 담당자 3 3
장애인 5 5
2 평생교육
사업
대학 1 25 1 25
비영리민간단체 1 1
평생학습도시 5 5
마을 및 지역 14 14
도서관 2 2
기타 2 2
3 문헌연구 6 6 6 6
100 100

<표 10>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연구방법 빈도 백분율(%)
양적연구 조사연구 17 20 17 20
실험연구 3 3
질적연구 근거이론 4 60 4 60
현상학적 연구 1 1
사례연구 52 52
실행연구 3 3
이론적 연구 문헌연구 6 16 6 16
이론적 논의 10 10
실천적 연구 도구개발 2 4 2 4
프로그램 개발 1 1
교과목 개발 - -
기타 개발 1 1
100 100